오늘 소개드릴 청년도약계좌 관련 정보는 당초 윤석열 대통령이 선거 공약으로 내놓았던 청년 금융지원 정책 중 하나입니다.

지난 문재인 정부가 추진했던 '청년희망적금'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생각보다 지원을 못하신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이제 곧 만기가 다가옵니다.

청년도약계좌-개설
청년도약계좌 만들기


이번 정부가 청년 공약으로 내새운 '청년도약계좌'는 공약대로 추진을 위해 약 3500억원의 예산이 편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공약청년도약계좌-예산
청년도약계좌 정책


위 공약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국가 지원을 통해 10년에 걸쳐 1억원을 받을 수 있도록 계획되었습니다.

 

2023년 청년도약계좌


하지만 이번 국회 정무위원회 보고서를 보면 기간은 5년으로 줄어둘고 최종 금액도 5천만원으로 조정되었네요.

선거 당선 전에 공약했던 사항인 만큼 지켜지나 싶었는데, 역시나 예산문제로 5년에 5000만원으로 축소 확정되었습니다.

청년-지원
청년지원정책


어떻게 보면 10년에 1억이 좋아보이지만 살아가면서 돈이 어떻게 필요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10년을 기다리는 것이 길게 느껴질수도 있습니다.

차라리 잘 된 것일지도 모르겠네요.

 

청년도약계좌 신청 정보


아직 신청 방법이나 플랫폼이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청년도약계좌 정보 공개는 된 상태입니다.

납입금 : 월 40만원 ~ 월 70만원
지원금 : 소득 구간별 3%, 3.7%, 4.6%, 6%
만기 : 5년
소득요건 : 개인소득 6천만원 이하, 중위 180% 이하

청년-도약
청년도약


구체적인 부분은 아직 발표를 하지 않은 상태라서 소득 구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조만간 글을 업데이트 하도록 할게요.

해당 청년도약계좌는 비과세를 적용받기 때문에 세금을 생각하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가입 은행을 통해 추가적인 금리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요.

청년희망적금-청년도약계좌-비교
비교


이 부분까지 계산해서 5,000만원이 나오게 되는 구조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적금형과 투자형 2가지 중 선택하는 형태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 부분도 아직 공개되지 않은 부분이라 정보가 나오는데로 글 업데이트 진행할게요!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연령 : 만 19세부터 ~ 만 34세 청년
소득 조건 :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

2023-기준-중위가구-소득
2023 중위 소득

 

2023년 중위소득 (180% 기준)

1인 : 3,740,206원

2인 : 6,221,081원

3인 : 7,982,669원

4인 : 9,721,735원

 

청년도약계좌 혜택

이전 정부에서 청년지원 통장에 가입하시지 못하신 분이실수록 이번에 청년도약계좌를 제대로 활용해보고 싶으실 겁니다.

그러면 최대 금액인 월 납입금 70만원과 정부지원금 6% 혜택을 지원받는 조건으로 혜택이 어떻게 나오는지 한번 보여드릴게요.

지원금
지원금


60개월[5년] 기준
(70만원 + 4만 2천원[6%]) x 60개월
= 정부지원금 포함 4452만원
= + 은행금리 추가
= 5,000만원


청년도약계좌 신청시기

청년도약계좌-신청-시기
청년도약계좌 시작 시기


위 사진에서도 보이시듯이 2023년 하반기를 목표로 정책 구성 중이라고 하니 아마 6월 정도에 시기 발표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번 정부가 작정하고 청년들에게 지원을 해주려는 것이라 5년간 300만명에게 혜택을 주려 합니다. 해당 시기가 오면 다시 한번 포스팅을 정리해서 전달드릴게요!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