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시장진흥공단을 통해 필요한 자금을 대출받으시려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 기존 은행 대출보다 이율도 훨씬 저렴하기에 부담을 많이 덜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제가 받은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에서 요구되었던 신용보증신청서 받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소상공인-정책자금
소상공인 정책자금

이 신용보증신청서는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을 받기 위해 각 지역별 신용보증재단에 방문할 때 챙겨야 할 필수 서류 중 하나입니다.

 

신용보증신청서 받는 방법

 

대출을 받고자 하는 금융기관을 방문하여 해당 서류에 은행 도장을 받아와야만 합니다. 제 사례를 예를 들어 설명해보겟습니다. 저는 이번 경기신용보증재단을 방문하기 전 신용보증신청서를 은행에서 발급받기 위해 하나은행을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경기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에서 소상공인 신용보증신청서를 출력해서 갔습니다. 출력 방법은 방문하시려는 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경기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에서 '신용보증 서식 > 소상공인 신용보증신청서'를 다운로드하여 인쇄해갔습니다.

 

하지만 정작 방문하니 굳이 인쇄해갈 필요 없었습니다. 각 지점에서 해당 서류를 바로 출력하여 도장을 찍어주더라고요. 다른 분들은 굳이 출력하시려고 애쓰실 필요 없으실 것 같습니다.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 신용보증신청서 발급 신청 시 필요서류

 

각 은행에서는 과연 이사람이 대출을 받을 자격이 있는지 확인 절차가 필요하기에 여러 서류가 필요합니다. 물론 이 서류들은 확인만 하고 돌려주기 때문에 그대로 들고 대출을 받으시려는 해당 신용보증재단으로 가시면 됩니다.

 

- 사업자등록증 사본

- 사업장 임대차 계약서 사본

- 사업장 월세 납부내역(최근 3개월)

- 거주지 임대차 계약서 사본(자가의 경우 생략, 가족 소유인 경우 가족관계 증명서 제출)

- 부가세 과세표준증명원(최근 3년)

- 신분증 사본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책자금 확인서

- 기타 대출을 받은 내역이 있다면 해당 은행의 금융거래확인서 각 1부씩

 

<법인 추가 서류>

- 정관 사본

- 주주명부 (서류제출 월 기준)

- 법인인감증명서(최근 1개월 이내)

- 법인 인감도장

- 주식 등 변동상황 명세서(최근 2개년, 세무사 사실증명인 필수)

- 재무제표(최근 3개년)

 

정책자금 신청을 완료하시고 해당 소상공인 시장 진흥공단의 연락을 받으셨다면 바로 해당 지역 신용보증재단에 방문 준비를 하셔야만 합니다. 위 서류를 지참하셔서 신용보증재단에서 알려준 은행 중 선택하셔서 방문하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 경기신용보증재단 인근에 있는 농협, 우리, 신한 은행 중 한 곳을 방문해 신용보증신청서를 받아오라고 하더군요.

 

서류만 준비하시면 20분도 안 걸려서 금방 받으실 수 있는 것이니 망설이지 마시고 움직이시기 바랍니다.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에 필요한 은행 신용보증신청서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소소한 팁이지만 헷갈리시는 부분을 잡아드릴 수 있는 글이었으면 좋겠네요. 만약 이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하트 한번 꾸~욱 부탁드려요. 작은 응원이지만 이렇게 나눌 수 있는 글을 쓰는데 큰 힘이 된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