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법인 또는 가족 법인을 운영하시거나 소규모로 법인을 운영하시는 분들의 경우 3년에 한번 법인의 임원 임기 변경을 하시는 시기가 오실텐데요. 먼저 제 상황을 알려드리겟습니다. 그래야 비슷하신 분들이 적용하시기 쉬울테니까요. 저는 와이프가 감사로 있으며, 미성년자 딸아이가 주주로 있는 상황입니다.

법인-감사-임기-만료-안내법인-임원-임기만료-연장-등기-비용
법인 임원 등기 만료안내

이번에 세무서에서 안내장 같은 것이 하나 날아왔더군요. 법인을 만드시고 3년 되시면 신경쓰셔야 하는 부분이니 놓치지 마시고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임원 등기 안하시면 과태료가 나온다고 하니 명심하세요.

 

법인 등기부에 있는 임원에 관한 사항의 경우 변동사항이 있을 시 변경등기를 해주어야만 합니다. 하지만 별다른 변동이 없다 해도 등기를 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게 바로 법으로 정해진 법인 임원의 최대임기인 3년에 한번씩 중임 등기를 해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법인 임원 임기 변경 시 유의사항(+꿀팁)

저는 올해로 법인을 만든지 3년째가 되는 해입니다. 그러다 보니 위 사진처럼 와이프가 주주총회 달인 3월 마지막날을 기준으로 임기가 만료되는 상황입니다. 더불어 대표인 저도 법인 창립일인 11월경 변경등기를 해야만 하는 상황입니다. 그러면 올해만 등기를 2번 해야하기에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나 부담이 되는 상황이죠.

 

이를 한 번에 처리할 수는 없을까 싶어 네이버 지식인에 문의하였더니, 거기서는 법적으로 안된다고 하더군요. 법무사 분이 답변을 달아주셨던데, 정말 곧이 곧대로 법만 생각해서 답변을 달아주셨더라고요. 결론부터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됩니다. 임기 만료 전 임원의 경우 임기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임 후 취임 절차를 통해 새로운 임기 시작일을 생성 하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 와이프의 임기만료일 전인 3월 25에 등기소를 방문할 예정이어서 대표인 저와 감사인 와이프 둘다 사임 후 취임 처리를 통해 둘다 같은 날짜로 임기를 맞춰두었습니다. 이렇게 해야 3년에 한번씩이라도 한번에 중임 처리 하면 되기에 일도 줄어드니까요.

 

참 이때 준비하시는 인감증명서는 1부씩만 가져가시면 됩니다. 저는 사임과 주주 서면결의서에 인감이 필요하다길래 2부씩 떼어 갔는데, 결과적으로는 1부씩만 있으면 되었더라고요. 저처럼 괜히 비용낭비하지 마시고 1부씩만 준비하세요:)

 

1인법인 가족 법인 임원 임기 변경 시 미성년자 주주가 있을 경우

 

아래에 필요서류를 별도로 알려드리겠지만 주주 1인 또는 자본금 10억 미만 법인일 경우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 대신 주주 서면결의서(주주 전원 인감 날인)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공증 받는대도 별도의 비용이 들기 때문에 주주 서면결의서로 사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주주서면결의서
주주서면결의서

 

주주서면결의서.docx
0.01MB

10억 미만 법인인데 주주에 미성년자가 들어가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위 사진에서 확인하실 수 있듯이 미성년자 날인란 옆에 법정대리인 000 (도장) 이런식으로 날인해서 준비하시면 됩니다. 저희 딸이기에 저와 와이프의 인감 도장이 들어가야겠죠? 별도 필요서류는 아래에서 확인해주세요.

 

등기 신청기간

임원 임기에 관한 등기의 경우 중임처리를 하려면 임기 종료일로부터 본점 소재지의 경우 2주 이내, 지점 소재지는 3주 이내에 해야한다고 하더군요. 그냥 편하게 2주 이내에 해야한다 정도로만 알아두시면 되세요.

 

저의 경우 임기 만료 전 처리를 해야만 해서 사임 후 취임을 선택했습니다.

 

필요서류

대표권 있는 사내이사(대표이사)

[공통서류]

  1. 임원변경등기신청서
  2. 등록면허세 영수필 확인서(관할 시.군.구청 세무과 문의) - 세무서 아님
  3. 등기신청수수료 영수증
  4. 정관사본
  5. 주민등록 등(초)본 - 과거 주소이력 포함

 

[취임]

  1.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
  2. 취임승낙서
  3. 개인인감증명서
  4. 인감신고서
  5. 인감대지(대표권 있는 사내이사의 경우)

 

[중임]

  1.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
  2. 중임승낙서
  3. 개인인감증명서

 

[사임]

  1. 사임서
  2. 개인인감증명서

 

[퇴임]

  • 정관사본

 

[해임]

  •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주주서면결의서로 대체 불가)

 

[미성년자 주주가 있을경우]

  1. 상세기본증명서
  2. 상세가족관계증명서
  3. 법정대리인 인감증명서(다른 서류에 인감증명서와 겹칠경우 필요x)

 

[대표이사 방문 시]

대표이사 신분증, 법인 인감도장

 

※ 참고사항

주주 1인 또는 자본금 10억 미만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 => 주주서면 결의서(주주 전원 인감 날인), 주주전원 인감증명서, 주주명부

(주주서면 결의서의 경우 제출했어도 등기관에 따라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을 요구할 시에는 그땐 다시 내야함. 즉 방문전에 등기민원콜센터 1544-0773에 확인하시고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확인하고 가서 한번에 처리했어요!)

 

이사 3인 미만이며 자본금 10억 미만

공증받은 이사회의사록 =>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 정관사본

 

이사 / 감사(일반)

[공통서류]

  1. 임원변경등기신청서
  2. 등록면허세 영수필 확인서(관할 시.군.구청 세무과 문의) - 세무서 아님
  3. 등기신청수수료 영수증
  4. 정관사본

 

[취임]

  1.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
  2. 취임승낙서
  3. 개인인감증명서
  4. 주민등록 등(초)본 - 과거 주소이력 포함

 

[중임]

  1.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
  2. 중임승낙서
  3. 개인인감증명서
  4. 주민등록 등(초)본 - 과거 주소이력 포함

 

[사임]

  1. 사임서
  2. 개인인감증명서

 

[퇴임]

  • 정관사본(단, 감사의 임기만료 시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결산보고 기재) 추가)

 

[해임]

  •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주주서면결의서로 대체 불가)

 

[미성년자 주주가 있을경우]

  1. 상세기본증명서
  2. 상세가족관계증명서
  3. 법정대리인 인감증명서(다른 서류에 인감증명서와 겹칠경우 필요x)

 

[대표이사 방문 시]

대표이사 신분증, 법인 인감도장

 

※ 참고사항

주주 1인 또는 자본금 10억 미만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 => 주주서면 결의서(주주 전원 인감 날인), 주주전원 인감증명서, 주주명부

(주주서면 결의서의 경우 제출했어도 등기관에 따라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을 요구할 시에는 그땐 다시 내야함. 즉 방문전에 등기민원콜센터 1544-0773에 확인하시고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확인하고 가서 한번에 처리했어요!)

 

이사 3인 미만이며 자본금 10억 미만

공증받은 이사회의사록 => 공증받은 주주총회의사록, 정관사본

 

서류 작성

 

아마 많은 분들이 양식은 어디서 구하며, 어떤식으로 작성해야하는지 궁금하실텐데요. 저는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필요서류 인쇄하고 기타서류 챙겨서 갓다냈답니다. 확실히 가서 작성하느라 고생할 필요없이 사전에 준비해서 서류만 갓다내니 편하더라고요.

 

1. 임원변경 등기신청서

온라인 신청서 작성방법을 다음 글로 작성할 예정이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대법원 인터넷등기소를 이용하시면 편하답니다!

 

2. 주주서면 결의서

공증받은 서류들을 대신할 수 있는 주주서면 결의서를 활용해보세요.

주주서면결의서.docx
0.01MB

 

3. 취임승낙서

저는 이사, 감사 모든 임원에게 필요하니 필요하신 부분 수정 및 입력하셔서 사용하세요. 취임하는 사람의 개인 인감도장을 날인하시면 됩니다. 중임도 아래 서류 수정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13.취임승낙서(감사).hwp
0.02MB
13.취임승낙서(대표이사 겸 사내이사).hwp
0.02MB

 

4. 사임서

동일하게 이사, 감사 사임시 필요한 서류입니다. 필요하신 부분 수정해서 사용하세요.

사임서(감사).docx
0.01MB
사임서(사내이사).docx
0.01MB

 

5. 인감신고서 및 인감대지

저는 대표이사이기에 신고하려면 이것도 필요하더라고요. 대법원 서류파일에서 받아온 것이니 걱정마시고 필요하신 부분 수정 및 입력해서 사용하세요.

114.인감·개인신고서.rtf
0.13MB
115.인감대지.doc
0.05MB

 

법인 정관이나 주주명부 같은 경우 법인 설립 시 이미 가지고 계신 서류들일테니 별도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등기 관련 업무는 서류준비가 7~9할입니다. 서류준비가 완료되셨다면 이제 마음편히 다음 절차를 따라오시면 됩니다.

 

법인 임원 임기 변경 서류준비에 대해 요약정리 해보았는데요. 생각보다 글이 길어졌네요. 다음글을 통해 온라인 신청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할게요! 행복한 하루되시길.

 

https://bcc101010.tistory.com/689

 

법인 셀프등기 감사 이사 중임(임기 만료 전 연장)

법인 셀프등기 감사 이사 중임에 필요한 관련 서류에 대하여 안내드렸는데요. 제 법인의 경우 임기 만료 전에 처리하는 것이라 사임 후 취임하는 절차를 통해 임기 연장을 처리하였습니다. 네이

bcc101010.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